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데이터베이스3

[데이터베이스설계와질의]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출처: 심준호 교수님, 데이터베이스설계와 질의 수업, R. Ramakrishnan and J.Gehrke, Database Management Systems, 3rd ed.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3판 Transaction: DB의 프로그램 수행 단위 - DBMS는 시스템이 붕괴된 후 재시동될 때에 모든 데이터(와 처리 중에 있던 응용들의 상태)를 일관적인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보장한다. - DBMS는 각 사용자가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접근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무 지장 없이 무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동시접근을 계획한다. - 미완료 트랜잭션과 시스템 붕괴: DBMS는 완료되지 않은 트랜잭션들에 의해 수행된 변경들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transaction 이란? .. 2023. 11. 6.
[데이터베이스설계와질의] DBMS 출처: 심준호 교수님, 데이터베이스설계와 질의 수업, R. Ramakrishnan and J.Gehrke, Database Management Systems, 3rd ed.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3판 DBMS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은 대규모의 데이터를 유지관리하고 이용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DBMS의 장점 데이터 독립성: 세부사항을 은닉하는 데이터의 추상적인 관점을 제공 효율적인 데이터 접근 데이터 무결성과 보안성: 데이터가 항상 DBMS를 통해 접근하면, DBMS는 무결성 제약조건을 집행할 수 있다. 또한, DBMS는 여러 부류의 사용자들에게 무슨 데이터가 보여질 수 있는지를 주관하는 접근제어를 집행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여.. 2023. 10. 28.
[데이터베이스] 외래키(FK) 식별관계와 비식별관계 RDB에서 외래키를 설정해 줄 때, '식별 관계'와 '비식별 관계'가 있다. 식별 관계 식별관계란, 부모 테이블의 기본키(PK) 또는 UNIQUE KEY를 자식 테이블이 자신의 기본 키로 사용하는 관계이다. 부모 테이블의 키각 자신의 기본키에 포함되기 때문에 반드시 부모 테이블에 데이터가 존재해야 자식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부모 데이터가 없다면 자식 데이터가 생길 수 없다. 장점 - 데이터의 정합성 유지를 DB에서 한 번 더 할 수 있다. - 자식 테이블에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부모 데이터도 반드시 존재한다고 보장할 수 있다. 단점 - 요구 사항이 변경되었을 경우 구조 변경이 어렵다. 비식별 관계 비식별관계란, 부모 테이블의 기본키(PK) 또는 UNIQUE KEY를 자신의 기본키로 사.. 2023. 10. 17.
반응형